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33

클린 아키텍처 요약 - 3부 설계원칙 (1) 좋은 아키텍처를 정의하는 원칙은 SOLID다. SOLID는 1980년대 유즈넷(과거 페이스북)에서 설계 원칙을 모아 탄생시켰다. 이 원칙의 목적은 '중간수준'의 소프트웨어 구조가 아래와 같도록 만드는 것이다. 변경에 유연 이해하기 쉬움 많은 소프트웨어에 사용될 수 있는 컴포넌트 중간수준 뜻 : 개발자가 모듈 수준에서 작업할 때 적용할 수 있다는 뜻. SOLID 요약 SRP (Single Responsibillity Principle, 단일책임원칙) 모듈 변경의 이유는 하나여야 함. OCP (Open Closed Principle, 개방-폐쇄 원칙) 코드를 수정하기 보단 새로운 코드를 추가하는 방식으로설계해야 함. LSP (Liskov Subsitution Principle, 리스코프 치환 원칙) 소스트웨.. 2024. 3. 12.
클린 아키텍처 요약 - 2부 벽돌부터 시작하기:프로그래밍 패러다임 개인적 견해는 기울임꼴로 작성했다. 2부. 벽돌부터 시작하기 프로그래밍 패러다임 3장. 패러다임 구조적 프로그래밍 무분별한 점프 구조(goto)의 해로움을 깨닫고 if, while등 더 익숙한 구조로 대체했다. 제어흐름의 직접적인 전환에 규칙을 부과했다. 객체지향 프로그래밍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은 제어흐름의 간접적인 전환에 부과되는 규율이다. 함수 포인터를 특정 규칙에 따라 사용하는 과정을 통해 필연적으로 다형성이 등장하게 되었다. 함수 호출 스택 프레임을 힙(heap)으로 옮기면, 함수 호출 반환 후에도 함수에서 선언된 지역변수가 오랫동안 유지될 수 있음을 발견했다. 함수 로드 방식을 스택에서 힙으로 바꾸면서 소멸했던 함수가 유지 가능해졌다. 이는 객체지향을 가능케하는 출발점으로 보인다. 함수형 프로그.. 2024. 2. 26.
클린 아키텍처 요약 - 1부 소개 개인적 견해는 기울임꼴로 작성했다. 서문 아키텍처의 규칙은 동일하다. 현재의 소프트웨어는 과거와 동일한 것들로 구성되어 있다. 하드웨어는 더 작고 빨라졌지만 소프트웨어를 구성하는 것돌은 조금도 바뀌지 않았다. 아키텍처의 원칙은 보편적이며 시간이 지나더라도 변함이 없다. 앨런 튜링이 최초로 기계어 코드를 작성한 1946년에서 달라지지 않았다. 과거에는 규칙을 몰랐거나 어겼을 뿐이다. 이 책은 세월이 흘러도 변치 않는 그 규칙에 관한 것이다. 1부. 소개 1장. 설계와 아키텍처란? 설계와 아키텍처의 차이는? 설계와 아키텍처 둘 사이에는 아무런 차이가 없다. 설계를 저수준, 아키텍처를 고수준을 의미하는 용어로 자주 사용되지만 무의하다. 이 둘은 단절없이 이어진 직물과 같으며 개별로 존재할 수 없다. 고수준에서.. 2024. 2. 19.
ParameterizedTypeReference 알고 사용하기 (feat. Generic) 2024. 2. 13.
spring batch에 대한 잡담 스프링 배치를 접하며 깨달은 점 3가지 써본다. 주관적인 견해도 함께 포함된다. 1. 테스트 코드에 @Transactional을 쓸 수 없다. 배치는 보통 데이터를 핸들링 하는 기능이기 때문에 데이터가 필수적이다. 그러므로 테스트 시작 전에 테스트 데이터를 임시로 적재할 필요가 있다. 이때 테스트 코드 상단에 @Transactional을 명시하여 시작 전에 적재 예정 데이터들을 테스트 종료 시 Rollback 하면 편하다. 하지만 테스트 코드에 @Transactional을 사용하면 아래와 같은 오류를 뱉어낸다. @Transactional @SpringBatchTest @SpringBootTest @Transactional // queryFactory .selectFrom(product) .where(pr.. 2024. 2. 5.
[서평] 나의 첫 금리 공부 도서명 ㅣ 나의 첫 금리 공부 저 자 ㅣ 염상훈 총평 당연 금리의 설명이다. 금리를 설명하려면 신용, 환율, 경기, 세계경제 상황 등 매우 다양한 변수들이 얽히고 설킨 집합체이다. 제목만 봐서는 난이도가 낮은 책이라고 생각 되지만 금리 자체가 쉬운 주제가 아니기 때문에 본인은 술술 읽히지는 않았다. 본인이 정리한 금리의 한줄설명은 '해당 화폐의 가격' 정도이다. 돈의 가격이 낮다면 수요는 높아질 것이고 돈의 가격이 높다면 수요는 낮아질 것이다. 이처럼 돈도 시장원리와 부합하여 움직인다. 그리고 그 가격을 결정하는 방법은 '금리'에 있다. 추천 대상 이 책을 선택한 이유는금리의 중요성은 알고 있었지만 막연하게 '이자'정도로만 이해하고 있었다. 금융, 경제 등 에서 금리는 빠지지않는 용어이기 때문에 한번쯤은.. 2022. 10. 8.